nautilus에서 바로 터미널을 띄우도록 하는 패키지
분류 전체보기
- nautilus-open-termial 2010.04.30
- MPlayer 코덱 추가 설치 2010.04.04
- USB to Serial converter 사용하기 2010.04.02
- Pro Git 2010.03.19
- FreeNX Server & Client 설치 2010.03.18
- 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비활성화 메시지 2010.03.17
- 사운드 팝핑 노이즈 제거 2010.03.16
- 터미널 폰트 변경 2010.03.16
- 유투브 동영상 다운로드하기 2010.03.04
- Windows® Embedded CE 6.0 Fundamentals 2010.01.16
nautilus-open-termial
2010. 4. 30. 22:03
MPlayer 코덱 추가 설치
2010. 4. 4. 21:56
동영상 중에 Video/Audio codec이 없는 경우, 정상적으로 재생이 되지 않는다. (영상 또는 소리가 나오지 않음)
예를 들어, audio codec이 Voxware codec으로 인코딩된 동영상 경우,
MPlayer는 코덱이 없어서 소리가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는다.
$ mplayer 1.asf
MPlayer SVN-r29237-4.4.1 (C) 2000-2009 MPlayer Team
mplayer: could not connect to socket
mplayer: No such file or directory
Failed to open LIRC support. You will not be able to use your remote control.
Playing 1.asf.
ASF file format detected.
[asfheader] Audio stream found, -aid 1
[asfheader] Video stream found, -vid 2
VIDEO: [MP43] 320x240 24bpp 1000.000 fps 274.0 kbps (33.5 kbyte/s)
open: No such file or directory
[MGA] Couldn't open: /dev/mga_vid
open: No such file or directory
[MGA] Couldn't open: /dev/mga_vid
[VO_TDFXFB] Can't open /dev/fb0: No such file or directory.
[VO_3DFX] Unable to open /dev/3dfx.
[VO_XV] Could not grab port 57.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Opening video decoder: [ffmpeg] FFmpeg's libavcodec codec family
Selected video codec: [ffdivx] vfm: ffmpeg (FFmpeg DivX ;-) (MSMPEG-4 v3)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Opening audio decoder: [dshow] Win32/DirectShow decoders
Win32 LoadLibrary failed to load: voxmsdec.ax, /usr/lib/codecs/voxmsdec.ax, /usr/lib/win32/voxmsdec.ax, /usr/local/lib/win32/voxmsdec.ax
Warning: DS_Filter() could not open DirectShow DLL. (DLL=voxmsdec.ax)
ERROR: Could not open required DirectShow codec voxmsdec.ax.
ADecoder preinit failed :(
ADecoder init failed :(
Cannot find codec for audio format 0x75.
...
MPlayer Download 페이지 binary codec packages에서 코덱을 추가로 받아 설치 할 수 있다.
Linux x86 20071007를 다운받아
/usr/lib/codecs, /usr/lib/win32, /usr/local/lib/win32 중 한 곳에 압축을 풀면,
정상적으로 소리가 나온다.
USB to Serial converter 사용하기
2010. 4. 2. 00:49
현재 사용하고 있는 USB to Serial converter 제품은 KW-825이다
+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+
Linux에서 특별히 드라이버를 설치하지 않아도 장치를 인식해서 사용할 수 있다.
$ dmesg | grep tty
[ 0.001154] console [tty0] enabled
[ 1.054132] serial8250: ttyS0 at I/O 0x3f8 (irq = 4) is a 16550A
[ 1.054434] 00:09: ttyS0 at I/O 0x3f8 (irq = 4) is a 16550A
[ 476.751366] usb 1-4.3: FTDI USB Serial Device converter now attached to ttyUSB0
FTDI USB Serial Device로 인식하고 ttyUSB0로 Serial 포트를 사용할 수 있다.
minicom -s 명령으로 configuration - Serial port setup 선택 - Serial Device를 위에서 인식한 /dev/ttyUSB0 로 설정
+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+
| A - Serial Device : /dev/ttyUSB0 |
| B - Lockfile Location : /var/lock |
| C - Callin Program : |
| D - Callout Program : |
| E - Bps/Par/Bits : 115200 8N1 |
| F - Hardware Flow Control : 아니오 |
| G - Software Flow Control : No |
| |
| Change which setting? |
+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+
| Screen and keyboard |
| Save setup as dfl |
| Save setup as.. |
| Exit |
| Exit from Minicom |
+--------------------------+
Pro Git
2010. 3. 19. 02:09
Git을 공부하기 위한 교재로 선택한 책.
Pro git (http://progit.org/book/)
이 책은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3.0 License로 오픈되어 있고,
git으로 책 내용을 관리하고 있다. (git://github.com/progit/progit.git)
git clone 으로 소스(?)를 받은 후, pdf로 빌드(?)할 수 있다.
git clone git://github.com/progit/progit.git
progit/latex 디렉토리로 이동 makepdf en 명령으로 영문 pdf 문서 생성~~
makepdf en
p.s.
내 PC에는 makepdf 명령 수행 시 ruby, pandoc, texlive-xetex, texlive-latex-recommended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에러 발생,
이들 패키지와 관련 패키지들을 먼저 설치 한 후 pdf 문서를 만들 수 있었다.
sudo apt-get install ruby pandoc texlive-xetex texlive-latex-recommended
참고로, 김재훈님이 이 책을 한글 번역을 하여 이솝 사이트에 게재 중이다.
FreeNX Server & Client 설치
2010. 3. 18. 00:39
개인적으로 VNC 보다 FreeNX 를 선호한다.
아래 주소 내용을 참고하여 설치.
FreeNX Server 설치
sudo add-apt-repository ppa:freenx-team
sudo apt-get update
sudo aptitude install freenx
sudo /usr/lib/nx/nxsetup --install
FreeNX client 설치
sudo dpkg -i nxclient_3.4.0-7_i386.deb
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비활성화 메시지
2010. 3. 17. 00:01
Ubuntu 로그인하면 제일 먼저 나를 반기는 ·네트워크 서비스 탐색 비활성화 ...· 메시지 창을 없애는 방법
/etc/default/avahi-daemon 파일에 아래 내용 추가한다.
/etc/default/avahi-daemon 파일에 아래 내용 추가한다.
AVAHI_DAEMON_DETECT_LOCAL=0
사운드 팝핑 노이즈 제거
2010. 3. 16. 23:56
사운드 소리가 나기 전 ·퍽·하는 팝핑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어서,
구글링을 해보니 아래와 같이 사운드카드 절전 관련 설정을 주석처리하라고 한다.
/etc/modprobe.d/alsa-base.conf 파일
p.s.
/etc 디렉토리 밑에 있는 파일들은 root권한으로 수정해야 하므로
sudo 명령으로 편집한다.
sudo vi /etc/modprobe.d/alsa-base.conf
sudo 대신 gksu 'GTK+ frontend for su and sudo) 도 있다.
구글링을 해보니 아래와 같이 사운드카드 절전 관련 설정을 주석처리하라고 한다.
/etc/modprobe.d/alsa-base.conf 파일
#options snd-hda-intel power_save=10
p.s.
/etc 디렉토리 밑에 있는 파일들은 root권한으로 수정해야 하므로
sudo 명령으로 편집한다.
sudo vi /etc/modprobe.d/alsa-base.conf
sudo 대신 gksu 'GTK+ frontend for su and sudo) 도 있다.
터미널 폰트 변경
2010. 3. 16. 23:46
Ubuntu 9.10 설치 후 가장 먼저 한 일은 터미널 창의 폰트를 변경한 일이다.
편집 - 프로파일 메뉴 선택 후 기본 값을 편집
시스템 고정폭 글꼴 사용 항목 체크 해제, 글꼴을 DejaVu Sans Mono book 10 으로 변경하고,
색을 글자색 흰색, 배경색 검정으로 바꾸었다.
편집 - 프로파일 메뉴 선택 후 기본 값을 편집
시스템 고정폭 글꼴 사용 항목 체크 해제, 글꼴을 DejaVu Sans Mono book 10 으로 변경하고,
색을 글자색 흰색, 배경색 검정으로 바꾸었다.
유투브 동영상 다운로드하기
2010. 3. 4. 01:30
Git을 공부하기 위해 Git 사이트(http://git-scm.com/)의 문서를 보니
구글본사에서 리누스 토발즈가 Git에 대해 강연하는 동영상이 유투브에 링크되어 있었다.
(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4XpnKHJAok8)
영어 공부도 할겸 반복 청취를 위해 PC/Phone에 다운로드 할 방법을 찾는 중 좋은 툴을 검색할 수 있었다.
youtube-dl (http://bitbucket.org/rg3/youtube-dl/wiki/Home)
p.s.
리누스 토발즈의 Git 강연의 본문을 아래 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었다. 동영상 싱크 자막을 만들어 볼까~~^^
http://www.speechpedia.org/LinusTorvalds/2007/05/14/Tech-Talk-Linus-Torvalds-on-Git-at-Google/
구글본사에서 리누스 토발즈가 Git에 대해 강연하는 동영상이 유투브에 링크되어 있었다.
(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4XpnKHJAok8)
영어 공부도 할겸 반복 청취를 위해 PC/Phone에 다운로드 할 방법을 찾는 중 좋은 툴을 검색할 수 있었다.
youtube-dl (
http://rg3.github.com/youtube-dl/ 주소 변경
파이썬으로 작성된 툴로서 쉘 커멘드로 간단히 유투브 동영상을 다운로드 할 수 있었다.
$ youtube-dl http://www.youtube.com/watch?v=4XpnKHJAok8
p.s.
리누스 토발즈의 Git 강연의 본문을 아래 사이트에서 구할 수 있었다. 동영상 싱크 자막을 만들어 볼까~~^^
http://www.speechpedia.org/LinusTorvalds/2007/05/14/Tech-Talk-Linus-Torvalds-on-Git-at-Google/
Windows® Embedded CE 6.0 Fundamentals
2010. 1. 16. 21:56
Windows CE 6.0 에 대해 체계적인 설명을 담고 있다. Windows Phone 7(Windows Mobile 7)은 Windows CE 6.0 커널을 사용하기 때문에 Windows Phone 7 개발을 위해서 이 책을 보는 것도 좋다.
MS에서 아래의 링크로 pdf 문서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.
http://www.microsoft.com/windowsembedded/en-us/downloads/fundamentals_book_thankyou.aspx
참고로 MS의 Learn Windows Embedded CE 를 통해 그 외 정보를 얻을 수 있다.
MS에서 아래의 링크로 pdf 문서를 무료로 배포하고 있다.
http://www.microsoft.com/windowsembedded/en-us/downloads/fundamentals_book_thankyou.aspx
참고로 MS의 Learn Windows Embedded CE 를 통해 그 외 정보를 얻을 수 있다.